티스토리 뷰

감성정보

잔디제초제, 동장군 - 2월중에 꼭 뿌리세요!!

황제0206 2020. 2. 13. 22:03
SMALL

잔디가 있는 정원을 가꾸고 계신가요? 잔디제초제는 뿌리셨는지요? 잔디제초제는 잔디에 뿌려주는 제초제로 잔디에는 피해가 가지 않으면서 4~5월까지 종자로 번식하는 일년생이나 다년생 잡초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잔디싹이 나오기 전인 1월에서 2월 중순까지 입제형 제초제인 클로베닐입제, 뷰타클로르.디클로베닐입제 등의 6종류의 제초제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농촌진흥청에서 권장한 6가지의 입제형 제초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6가지 제초제 중 하나인 동장군(뷰타클로르.디클로베닐입제)을 저희 논산 옐로하우스의 정원에 뿌리는 모습까지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농촌진흥청에서 추천하는 잔디제초제는 클로베닐입제, 뷰타클로르.디클로베닐입제, 이마자퀸입제, 이마자퀸.펜디메탈린입제, 페녹슐람.피라조설퓨론에틸입제 그리고 플루세토설퓨론.이마자퀸입제 총 6종입니다.

각각의 약제에 해당하는 제품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중에 저는 뷰타클로르.디클로베닐입제인 동장군을 구매했습니다. 입제형 제초제는 약 0.5~2.5mm 크기의 작은 입자로 된 농약을 말하는데 모양은 아래 사진을 참고하세요.

동장군의 용량은 3kg 이며 100평의 잔디밭에 잡초방지를 할 수 있는 양으로 가격은 만6천원입니다. 우측 사진을 보시면 2.5mm 정도 크기의 작은 입자형태인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잔디제초제는 잡초의 씨가 발아를 할 때 제초제 성분을 함께 빨아들이게 해서 잡초가 죽어버리게 하는 원리입니다. 

그래서 종자로 번식을 하는 잡초에게만 효과가 있으며 이미 발아를 해서 싹이 난 후에는 동장군을 뿌려도 잡초제거효과가 없습니다. 

 

하지만 잡초의 싹이 나기 전, 늦어도 2월중에 뿌려놓으면 4~5월까지 종자로 번식하는 잡초의 발생은 억제가 가능해서 잡초가 눈에 띄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초제는 지나치게 사용하면 약해가 밣생해 잔디까지 죽을 수 있으므로 적정량을 지켜서 사용해야 하며 줄기로 번식하는 잡초의 경우에는 해당 잔디제초제는 효과가 없으므로 인근의 농약상에 해당 잡초의 사진을 찍어가서 해당 잡초에 효과가 있는 제초제를 뿌리시면 됩니다.

하지만 농약상에서 파는 일반 제초제는 독성이 강하고 잔디나 다른 나무에게도 피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일반 주택의 정원의 잡초들은 그냥 보이는대로 손으로 뽑아주는 것을 권합니다.

그럼 입제형 제초제를 뿌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잔디제초제 뿌리는 방법

1. 일회용 비닐장갑과 마스크를 꼭 착용합니다.

2. 봉지에서 적당한 양의 제초제를 덜어내서 바람을 등지고 넓게 퍼지도록 던져줍니다.

3. 만약 제초제 양이 적어서 뿌리는 것이 힘들다면 제초제와 모래나 흙을 1:3 정도의 비율로 섞어서 뿌려줍니다.

 

위의 방법은 정석적인 방법이고 저희 잔디밭은 80평 정도 되는데 그냥 봉지째 들고 슬슬슬 뿌려줬습니다. 물론 비닐장갑과 마스크는 필수입니다. 

 

 

반응형

 

2월달에 유실수와 잔디밭을 위한 작업인 퇴비주기와 전지작업 그리고 잔디제초제를 뿌리는 모습을 영상으로 만들었는데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시청해주시고 좋아요와 구독도 해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늦어도 2월중에는 뿌려주면 4~5월까지 잡초가 훨씬 줄어드는 잔디제초제인 동장군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가격도 그리 비싸지 않으며 뿌려보시면 안 뿌렸을 때와는 다르다는 것이 느껴지실 꺼예요. 잔디밭을 관리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땅콩재배방법, 자방병이 내려왔습니다!! 신기방기하네요^^

 유실수 전정 관련 용어정리 및 기본원리

마늘재배방법, 텃밭에서 마늘 키우기 총정리

 

 

반응형
LIST
댓글
반응형